AI Safety Lab 사용자 매뉴얼

안전관리시스템 통합 가이드

8.1 현장 안전 상황실

실제 화면 구성

현장 안전 상황실은 Heinrich's Law(1:29:300)와 Bird's Law(1:10:30:600)를 기반으로 한 과학적 안전 관리 대시보드입니다.

접근 경로: 로그인 → 메인 대시보드 또는 /app/dashboard/
실제 화면 스크린샷

아래는 실제 현장 안전 상황실의 화면 구성과 기능들입니다:

메인 대시보드 화면
현장 안전 상황실 메인 화면
🖥️ 상단 제어 영역
  • 현장 선택: 드롭다운으로 현장 변경
  • 날짜 범위: 시작일자/마치는일자 설정
  • 조회 버튼: 보라색 "조회" 버튼
  • 보고서 인쇄: 우상단 인쇄 버튼
📊 안전 지수 차트 (2×2)
  • 하인리히 안전 지수: 게이지 차트
  • 버드 사고 위험 지수: 게이지 차트
  • 하인리히 사고 감소율: 막대 차트
  • 버드 사고 감소율: 막대 차트
📈 하단 주요 지표 위젯

평가/점검 횟수, 총 위험요소, 적정/조치완료, 미조치 등 4개 핵심 지표를 카드 형태로 표시

일자별 안전 지표 분석 차트
일자별 안전 지표 분석 차트
📈 라인 차트 기능
  • 6개 지표: 적정, 부적정, 완료, 미완료, 위험요소, 조처완료
  • 색상 구분: 각 지표별 고유 색상으로 표시
  • 범례: 상단에 각 지표별 설명
  • 시간축: 선택된 기간의 일자별 변화
🔍 분석 포인트
  • 트렌드 파악: 시간별 안전 지표 변화
  • 패턴 분석: 주기적 변화 또는 이상 징후
  • 개선 효과: 조치 후 지표 개선 확인
  • 예측 가능: 향후 안전 상태 예측
체크리스트 현황보고 (Toast UI Grid)
체크리스트 현황보고 그리드
📋 그리드 구성
  • ID: 체크리스트 고유번호
  • 체크리스트명: 제목 (클릭 가능)
  • 평가일: 작성 날짜
  • 작성자: 담당자명
  • 총 항목: 체크 항목 수
  • 중점관리: 우선순위 항목
🎨 배지 표시 (색상 구분)
  • 🟢 적정: 정상 항목
  • 🔴 부적정: 문제 항목
  • 🔵 완료: 조치완료
  • 🟡 미완료: 미처리
  • 🟠 위험요소: 위험도
  • 🔷 조처완료: 최종완료
🖱️ 사용법
  • 더블클릭: 체크리스트 상세보기/편집
  • 정렬: 컬럼 헤더 클릭으로 정렬
  • 스크롤: 가로/세로 스크롤 지원
  • 합계행: 하단에 각 컬럼별 합계 표시
업종/분류별 집계 (Toast UI Grid)
업종/분류별 집계 그리드
🏗️ 분류 정보
  • 대분류: 건설업종 대분류
  • 세부분류: 상세 작업 분류
  • 총 항목: 해당 분류 총 점검 항목
  • 적정/부적정: 평가 결과별 건수
📊 성과 지표
  • 적정률: (적정 / 총항목) × 100
  • 완료율: (완료 / 총항목) × 100
  • 개선담당자: 책임자 이름
  • 담당자연락처: 연락 가능한 번호
🎯 성과 평가 색상 구분
  • 🟢 90% 이상: 우수 (초록 배지)
  • 🟡 70-89%: 보통 (노랑 배지)
  • 🔴 70% 미만: 개선필요 (빨강 배지)
  • ⚪ 0%: 데이터없음 (회색 배지)

주요 지표 위젯 (4개)

평가/점검 횟수

표시 형태: "12 / 7" (총 점검횟수 / 기간 일수)

선택한 기간 동안 완료된 체크리스트 총 개수와 조회 기간의 일수를 표시합니다.

총 위험요소

표시 형태: "156건"

기간 내 모든 체크리스트에서 발견된 총 항목 수 (checklist_item_count의 합계)

적정/조치완료

표시 형태: "98건"

조치가 완료된 항목들의 총합 (d_complete 컬럼 합계)

미조치

표시 형태: "58건"

아직 조치되지 않은 항목들 (총 위험요소 - 적정/조치완료)

일자별 안전 지표 분석 (라인 차트)

TUI Chart를 사용한 시각화

선택한 기간 동안의 일자별 안전 데이터를 6개 지표로 분석하여 보여줍니다.

표시되는 6개 지표
  • 🟢 적정: 일자별 적정 평가 건수
  • 🔴 부적정: 일자별 부적정 평가 건수
  • 🔵 완료: 일자별 조치완료 건수
  • 🟡 미완료: 일자별 미완료 건수
  • 🟠 위험요소: 일자별 위험요소 발견 건수
  • 🔷 조처완료: 일자별 조처완료 건수

차트 크기: 350px 높이, 범례는 상단에 표시

체크리스트 현황보고 (Toast UI Grid)

실시간 데이터 테이블

선택한 기간 동안의 모든 체크리스트를 Toast UI Grid로 표시합니다.

표시 컬럼 구성
📋 기본 정보
  • ID: 체크리스트 고유번호
  • 체크리스트명: 제목 (클릭 가능, 350px 폭)
  • 평가일: 작성 날짜
  • 작성자: 담당자명
  • 총 항목: 체크 항목 수
  • 중점관리: 우선순위 항목 수
📊 평가 결과 (배지로 표시)
  • 🟢 적정: 정상 항목 (초록 배지)
  • 🔴 부적정: 문제 항목 (빨강 배지)
  • 🔵 완료: 조치완료 (파랑 배지)
  • 🟡 미완료: 미처리 (노랑 배지)
  • 🟠 위험요소: 위험도 (주황 배지)
  • 🔷 조처완료: 최종완료 (청록 배지)
그리드 사용법
  • 더블클릭: 체크리스트 상세보기/편집 (새 창)
  • 스크롤: 가로/세로 스크롤 지원 (400px 높이)
  • 정렬: 체크리스트명, 평가일 컬럼 정렬 가능
  • 합계행: 하단에 각 컬럼별 합계 표시

업종/분류별 집계 (Toast UI Grid)

분류별 통계 분석
🏗️ 분류 정보
  • 대분류: 건설업종 대분류
  • 세부분류: 상세 작업 분류
  • 총 항목: 해당 분류 총 점검 항목
📈 성과 지표
  • 적정률: (적정 / 총항목) × 100
  • 완료율: (완료 / 총항목) × 100
  • 개선담당자: 책임자 이름
  • 담당자연락처: 연락 가능한 번호
적정률/완료율 색상 구분
  • 🟢 90% 이상: 우수 (초록 배지)
  • 🟡 70-89%: 보통 (노랑 배지)
  • 🔴 70% 미만: 개선필요 (빨강 배지)
  • ⚪ 0%: 데이터없음 (회색 배지)

Heinrich & Bird 법칙 기반 안전 지수

과학적 사고 예방 시스템

실제 시스템은 Heinrich's Law(330건 기준)와 Bird's Law(600건 기준)를 사용하여 사고를 예방합니다.

하인리히 안전 지수 (게이지)

계산법: (미조치 건수 / 330) × 100

색상 구분:

  • 🟢 0-90.9%: "안전 상태 양호" (0-300건)
  • 🟡 90.9-99.7%: "위험 수준 주의" (301-329건)
  • 🔴 99.7-100%: "긴급 조치 필요" (330건+)

게이지 설정: 225°~135° 범위, 시계방향

버드 위험 지수 (게이지)

계산법: (미조치 건수 / 600) × 100

색상 구분:

  • 🟢 0-15%: "아차사고 수준" (0-90건)
  • 🟡 15.1-20%: "물적피해 위험" (91-120건)
  • 🟠 20.1-25%: "부상사고 위험" (121-150건)
  • 🔴 25.1%+: "치명적사고 위험" (151건+)

게이지 설정: 225°~135° 범위, 시계방향

하인리히 사고 감소율 (막대)

계산 기준: 조치완료 건수로 예방된 사고 추정

3개 카테고리:

  • 큰 피해: (조치완료 × 대형사고비율)
  • 작은 피해: (조치완료 × 소형사고비율)
  • 경미한 사고: (조치완료 × 경미사고비율)

색상: 빨강 → 주황 → 초록 순서

버드 사고 감소율 (막대)

계산 기준: 1:10:30:600 비율 적용

4개 카테고리:

  • 중상사고: 조치완료 × (1/600)
  • 경상사고: 조치완료 × (10/600)
  • 무상해사고: 조치완료 × (30/600)
  • 아차사고: 조치완료 건수 그대로

색상: 보라 → 청록 → 녹청 → 초록

보고서 인쇄 기능

html2canvas 기반 고품질 인쇄

우측 상단의 "🖨️ 보고서 인쇄" 버튼으로 전체 대시보드를 PDF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인쇄 보고서 구성 내용
📋 보고서 헤더
  • 현장명: 선택된 현장 이름
  • 생성일시: 보고서 출력 시각
  • 조회 기간: 설정된 날짜 범위
  • 조회 일수: 분석 대상 기간
📊 포함 데이터
  • 4개 안전 지수 차트: 이미지로 캡처
  • 일자별 분석 차트: 라인 차트
  • 체크리스트 현황: 테이블 형태
  • 업종별 집계: 통계 테이블
인쇄 기술 사양
  • 차트 캡처: Canvas toDataURL() 사용
  • 인쇄 최적화: @media print 스타일 적용
  • 페이지 나누기: page-break-before: always
  • 색상 보존: -webkit-print-color-adjust: exact

실제 사용 단계별 가이드

대시보드 활용 워크플로우
STEP 1: 현장 및 기간 설정
  1. 좌상단 드롭다운에서 현장 선택 (level 9+ 관리자만 변경 가능)
  2. 시작일자/마치는일자 입력 (기본값: 가장 빠른 데이터~오늘)
  3. "조회" 버튼 클릭하여 데이터 필터링
실제 화면 예시 (위 캡쳐 기준)
  • 선택된 현장: "평택고덕지구 현대아파트(현대건설기술 평택지사)"
  • 조회 기간: 2025.05.23 ~ 2025.09.10 (총 111일)
  • 분석 결과: 23회 점검 완료, 208개 위험요소 발견
STEP 2: 안전 지수 분석
  1. 하인리히 게이지: 현재 안전도 확인 (녹색=안전, 빨강=위험)
  2. 버드 게이지: 사고 위험도 평가 (4단계 색상)
  3. 감소율 차트: 예방 효과 확인
  4. 주요 지표: 숫자로 정확한 현황 파악
실제 데이터 분석 결과
🟢 하인리히 안전 지수: 28.5%
"안전 상태 양호" - 330건 기준 대비 안전한 수준
🟠 버드 위험 지수: 15.7%
"물적피해 위험" - 600건 기준 주의 필요

예방된 사고 (하인리히):
큰 피해 0건, 작은 피해 1.3건, 경미한 사고 38.9건
예방된 사고 (버드):
중상 0.2건, 경상 1.9건, 무상해 5.7건, 아차사고 114건
STEP 3: 상세 데이터 검토
  1. 체크리스트 그리드: 개별 점검 결과 확인
  2. 더블클릭: 상세 내용 확인 및 편집
  3. 업종별 집계: 분야별 성과 분석
  4. 일자별 차트: 시간별 변화 추이 파악
STEP 4: 보고서 생성
  1. "보고서 인쇄" 버튼 클릭
  2. 새 창에서 인쇄용 레이아웃 확인
  3. PDF 저장 또는 프린터 출력
  4. 정기 보고서나 회의 자료로 활용

자주 묻는 질문

5초마다 자동 업데이트됩니다. JavaScript setInterval() 함수로 실시간 데이터를 가져와 차트를 새로 고칩니다. 체크리스트 작성이나 조치 완료 시 즉시 반영됩니다.

네, Bootstrap 반응형 디자인으로 스마트폰, 태블릿에서 최적화됩니다. 차트는 화면 크기에 맞춰 조정되고, 그리드는 가로 스크롤로 모든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user_level 9 이상 (현장 관리자급)만 현장 선택 드롭다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 사용자는 disabled 상태로 고정된 현장만 볼 수 있습니다.

관련 기능 바로가기

데이터 입력하기

대시보드에 데이터가 나타나려면 먼저 체크리스트나 위험성 평가를 작성해야 합니다.

더 자세한 분석

대시보드 외에도 현장별 상세 보고서와 현장 정보 관리 기능을 활용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