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Safety Lab 사용자 매뉴얼
안전관리시스템 통합 가이드
8.2 현장 보고서
실제 시스템 구성
현장 보고서는 3가지 유형의 대시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다른 관점에서 안전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접근 경로:
/app/dashboard_site/
/app/dashboard_ent/
/app/dashboard_branch/
공통 기능:
- Toast UI Chart (TUI Chart)
- Toast UI Grid (데이터 테이블)
- html2canvas (차트 캡처)
출력 방식:
- PDF 인쇄 기능
- Excel 내보내기
- 차트 이미지 포함
3가지 보고서 대시보드
현장 참여업체 보고서
URL: /app/dashboard_site/
제목: "현장 참여업체 보고서"
주요 기능:
- 현장 선택: 드롭다운으로 현장별 분석
- 날짜 범위: 시작일~종료일 선택
- 참여업체별 통계: 업체별 성과 비교
- 보고서 인쇄: PDF 출력 기능
대상 사용자: 현장 관리자, 협력업체 담당자
원청사별 현장 보고서
URL: /app/dashboard_ent/
제목: "원청사별 현장 보고서"
주요 기능:
- 원청사별 현황: 원청사가 관리하는 모든 현장
- 통합 분석: 여러 현장의 종합 안전 지표
- Heinrich/Bird 분석: 과학적 안전 지수
- 차트 시각화: TUI Chart 기반
대상 사용자: 원청사 임원, 안전 관리 책임자
협력사별 현장 보고서
URL: /app/dashboard_branch/
제목: "협력사별 현장 보고서"
주요 기능:
- 협력사 관점: 참여 중인 모든 현장 현황
- 현장별 실적: 협력사의 현장별 안전 성과
- 비교 분석: 현장간 성과 비교
- 개선점 도출: 취약 현장 식별
대상 사용자: 협력업체 관리자, 현장 안전담당자
실제 현장 보고서 화면 스크린샷
현장 참여업체 보고서 화면
실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현장 참여업체 보고서의 화면 구성과 기능을 스크린샷으로 설명합니다.
현장 참여업체 보고서 - 메인 화면

🏗️ 상단 조회 조건 설정
- 현장 선택: 드롭다운으로 분석할 현장 선택
- 시작일/종료일: 날짜 범위 지정
- 조회 버튼: 파란색 "조회" 버튼으로 데이터 갱신
- 보고서 인쇄: 우상단 "🖨️ 보고서 인쇄" 버튼
📊 4개 안전 지수 차트 영역
- 하인리히 위험 지수: 게이지 차트 (안전 상태 표시)
- 버드 사고 위험 지수: 게이지 차트 (위험도 레벨)
- 하인리히 사고 감소율: 막대 차트 (예방 효과)
- 버드 사고 감소율: 막대 차트 (단계별 예방)
🎯 화면 구성의 특징
- 실시간 업데이트: 조회 조건 변경 시 즉시 차트 갱신
- 과학적 분석: Heinrich's Law와 Bird's Law 기반 지수 계산
- 시각적 표현: 게이지와 막대차트로 직관적 이해
- 상태별 색상: 안전도에 따른 색상 구분 (초록/노랑/빨강)
현장 참여업체 보고서 - 상세 데이터 화면

📈 일자별 안전 지표 분석 차트
- 라인 차트: 시간별 안전 지표 변화 추이
- 다중 지표: 적정, 부적정, 완료, 미완료 등
- 색상 구분: 각 지표별 고유 색상으로 표시
- 범례 표시: 상단에 각 지표별 설명
📊 Toast UI Grid 데이터 테이블
- 체크리스트 현황: 개별 체크리스트 상세 정보
- 배지 시스템: 상태별 색상 배지 표시
- 정렬 기능: 컬럼 헤더 클릭으로 정렬
- 상호작용: 더블클릭으로 상세보기
🔍 차트 분석 활용법
- 트렌드 파악: 시간에 따른 안전 지표 변화
- 패턴 분석: 주기적 변화나 이상 징후 발견
- 개선 효과: 안전 조치 후 지표 개선 확인
- 예측 분석: 미래 안전 상태 예측 가능
📋 그리드 활용법
- 상세 검토: 개별 체크리스트 내용 확인
- 문제 식별: 부적정 항목 빠른 파악
- 진행 상황: 조치 완료 현황 모니터링
- 데이터 내보내기: Excel 형태로 추출 가능
💡 보고서 활용 팁
- 정기 모니터링: 주간/월간 단위로 정기적 분석
- 비교 분석: 기간별 또는 현장별 성과 비교
- 문제점 도출: 지속적으로 부적정한 항목 집중 관리
- 개선 계획: 데이터 기반의 안전 개선 전략 수립
보고서 사용 단계별 가이드
실제 화면 기반 사용법 안내
위 스크린샷을 참고하여 현장 참여업체 보고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STEP 1: 조회 조건 설정 (첫 번째 스크린샷 참조)
🏗️ 현장 선택
- 드롭다운 위치: 화면 좌상단 "현장 선택" 영역
- 선택 방법: 드롭다운 클릭 후 원하는 현장 선택
- 표시 형태: 현장명과 ID가 함께 표시
📅 날짜 범위 설정
- 시작일: 좌측 날짜 입력 필드
- 종료일: 우측 날짜 입력 필드
- 조회 실행: 파란색 "조회" 버튼 클릭
조회 조건 설정 팁
- 적절한 기간 설정: 너무 긴 기간은 성능 저하 가능
- 현장별 비교: 동일 기간으로 여러 현장 분석 권장
- 정기 분석: 주간/월간 단위로 정기적 조회
STEP 2: 안전 지수 차트 분석 (첫 번째 스크린샷 참조)
📊 상단 2개 게이지 차트
- 하인리히 위험 지수: 좌상단 게이지, 안전 상태 확인
- 버드 사고 위험 지수: 우상단 게이지, 위험도 레벨 표시
📈 하단 2개 막대 차트
- 하인리히 사고 감소율: 좌하단, 3단계 예방 효과
- 버드 사고 감소율: 우하단, 4단계 세분화 분석
차트 색상 의미
초록색(안전), 노란색(주의), 주황색(경고), 빨간색(위험) 순으로 안전도를 나타냅니다.
STEP 3: 상세 데이터 분석 (두 번째 스크린샷 참조)
📈 일자별 추이 분석
- 라인 차트: 시간에 따른 지표 변화 확인
- 다중 지표: 여러 안전 지표를 한 번에 비교
- 트렌드 파악: 개선/악화 패턴 식별
📊 상세 데이터 그리드
- 체크리스트 목록: 개별 점검 결과 상세 확인
- 배지 시스템: 상태별 색상으로 빠른 파악
- 정렬 및 검색: 효율적인 데이터 탐색
데이터 분석 활용법
- 이상 패턴 감지: 급격한 변화나 이상 징후 조기 발견
- 개선 효과 측정: 안전 조치 후 지표 개선 확인
- 예방 활동 계획: 데이터 기반 안전 계획 수립
STEP 4: 보고서 출력 및 활용
🖨️ 보고서 인쇄
- 인쇄 버튼: 화면 우상단 "🖨️ 보고서 인쇄" 클릭
- 새 창 열림: 인쇄 전용 레이아웃으로 표시
- PDF 저장: 브라우저 인쇄 기능으로 PDF 생성
📋 보고서 활용
- 정기 보고: 주간/월간 회의 자료로 사용
- 현장 공유: 안전 현황 공지 및 교육 자료
- 개선 계획: 데이터 기반 안전 전략 수립
실제 시스템의 데이터 그리드
Toast UI Grid 기반 데이터 테이블
각 보고서 대시보드는 Toast UI Grid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표시합니다.
공통 그리드 기능
🎨 UI 스타일링
- 테마: 'clean' 테마 적용
- 언어: 한국어('ko') 설정
- 행 번호: rowHeaders: ['rowNum']
- 정렬: 특정 컬럼에서 정렬 가능
📊 데이터 표시
- 배지 형태: 상태별 색상 구분
- 스크롤: 가로/세로 스크롤 지원
- 합계행: 하단에 컬럼별 합계
- 이벤트: 더블클릭으로 상세보기
실제 그리드 초기화 코드
tui.Grid.applyTheme('clean', themeOptions);
tui.Grid.setLanguage('ko');
grid.resetData(data); // 데이터 업데이트
자주 묻는 질문
각 보고서의 차이점은?
- dashboard_site: 현장별 참여업체 분석
- dashboard_ent: 원청사별 통합 현황
- dashboard_branch: 협력사별 현장 실적
각각 다른 관점에서 같은 안전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인쇄 품질은 어떤가요?
html2canvas 기술로 차트를 고해상도 이미지로 캡처하여 PDF나 인쇄물에서도 선명한 품질을 보장합니다.
@media print 스타일로 인쇄 최적화되어 있습니다.